'이원론'에 해당되는 글 3건

하나님이 우주 만물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만사의 최종 결정권을 지니고 계신다는 사실을 믿는 신앙은 창조 사실에 대한 확신에 근거한다. 그러므로 만물의 기원을 진화로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사회진화론 같은 철학을 내세우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세계관과 맞지 않는다. 진화론의 세계관은 근본적으로 인간을 적자생존이나 약육강식에 입각하여 이해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상 (창1:27)을 심히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이 세상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보시기에 아름답다고 하신 세상(창1:1,31) 이므로, 우리는 이 세상이 원래 하나님이 만드신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잘 지키고 동시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가야 할 책임이 있다 (창1:28, 2:15). 그리고 이런 창조 신앙 입장에서 잘못된 구원관을 바로 잡아야 한다. 많은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의 경우, 구원을 이 세상에서 벗어나 저 세상(가는 천국)으로 가는 것으로만 인식해 왔고, 이 땅에 하나님 나라 (오는 천국)를 실현하기 위하여 오신 예수님의 의도를 소홀히 여기는 경향이 많았다. 그래서 이 세상에서의 삶 자체가 악한 것으로 규정하고 피해야 할 대상으로만 여기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었다.

이렇게 세상을 기피하는 신앙이 교회에 자리 잡은 것은 성스러움과 속됨의 구분을 방향(direction)의 구분이 아니라 공간 및 구조(Structure)의 구분으로 이해한 결과이다. 방향이라 함은 우리의 삶이 하나님을 향하고 있느냐, 사탄을 향하고 있느냐를 말한다. 분명히 삶의 방향에서는 이중성(duality)이 있다. 그러나 이 세상 자체가 속된 것과 성스러운 것으로 나뉘어져 것은 아니다. 비록 세상이 인간 타락의 결과로 사탄의 다스림을 받는 상황에 있다하더라도, 이 세상은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이기 때문에, 그 세상 자체를 둘로 나눌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바람직하지 않은 이원론(dualism) 때문에 세상의 삶과 학문, 그리고 예술 자체를 멀리하고 신학이나 성직의 삶만이 가장 성스러운 삶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거듭 말하지만 이 세상은 근본적으로 하나님이 창조한 세상이기 때문에 이 세상 자체를 악하다고 볼 수 없고, 그래서 구원을 오직 이 세상에서의 이탈로 볼 수 없다. 진정한 구원이란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웠던 그 세상으로의 회복을 반드시 포함한다. 이런 면에서 하나님의 다스림이란 신앙 안에서 구원이란 전 인격적인 구원, 전 우주적인 구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세상의 삶과 학문, 그리고 예술을 포함한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이처럼 바로 회복된 구원론을 세상에 구체화하는 신앙이 만인제사장 신앙이다. 만인제사장 신앙, 더 정확히 말하면 모든 믿는 자의 성직자 됨이라는 종교 개혁 신앙은 오늘날 많이 왜곡되고 있다. 만인제사장 신앙은 하나님과 나 사이에 예수님 외에는 더 이상 중개자가 필요 없고 모든 성도는 교회 내의 지체로서 동등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다는 '종교적'인 의미로만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마틴 루터는 이 만인 제사장 신앙을 말하면서 세상에서의 중보(Fuerbitte)를 강조한 적이 있다. 여기서 중보란 이 세상에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화해시키고 중재시키는 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에 막힌 담을 허는 화해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진정한 제사장적 삶이란 교회 내 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서 우리가 감당하는 삶 가운데 평화와 화해를 위한 헌신의 자세를 포함하고 있다.

'Christians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여전히 예수인가?  (0) 2011.04.06
교회의 개혁은 기도의 변화부터....  (0) 2011.04.01
Wahrheit  (0) 2011.03.30
여성성의 재발견  (0) 2011.03.30
동성애는 선택인가?  (1) 2011.03.30
Posted by jaws4u

빚좋은 개살구

Christians21 2011. 3. 29. 04:58
독일에 체류하고 있을 때 일이다. 세계적으로 명성 있는 한 역사학교수의 수업을 기다리고 있었다. 내용은 다 이해하지 못해도 그 교수의 수업에 참여했다는 것만으로도 영광이라 생각되었다. 300명 되는 강당 좌석은 독일학생들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온 학생들로 빈틈없이 차있었다. 강의 5분전쯤 조교처럼 보이는 나이든 학생(?)이 앞으로 걸어 나왔다. 머리는 부스스하고 청바지에 운동화, 그리고 뒤에 백을 매고 있었다. 그런데 올라오더니 다시 내려가지 않고 마이크를 잡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강의를 시작했다. 그분이 바로 우리가 기다리던 교수였던 것이다.
 
20 여개국어로 번역될 만큼 명저를 쓴 이 교수의 외모는 당시 한국에서 막 도착한 나의 눈에는 매우 초라하게 보였다. 그러나 그의 학문적 권위는 그의 외모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너무나 평범한 진리를 깨달았다. 그러면서 나는 얼마나 실속없는 문화가운데서 실속없는 사람으로 살아왔는지 깊은 반성을 하게 되었다. 더구나 강의를 마치고 학교정문 앞에 묶어둔 자전거를 타고 귀가하는 그 교수의 모습은 감동적이기까지 했다.
 
요즘 나오는 책 표지는 정말 예쁘고 눈에 확 띈다. 그러나 그에 걸맞게 우리의 마음을 움직일 만큼 충실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 얼마나 될까? 그렇게 멋진 옷을 차려입고 다니지만 그 옷을 걸치고 있는 사람의 마음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궁전 같은 집에 화려한 가구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내면이 얼마나 크고 웅장할까?
 
외모는 한순간 사람의 관심을 끌 수는 있지만 변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므로 외모는 사람에게 영향을 끼칠 수 없다. 만약 외모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라면 소망이 없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신앙인도 마찬가지이다. 축복을 겉모양에서 찾는다면 예수님과 전혀 상관없는 삶을 평생 살 수 있다. ‘목사’ ‘장로’ ‘집사’가 그 사람의 참모습을 대변하지 못한다. ‘회장’ ‘사장’ ‘교수’가 크리스천의 성공을 보장하지 못한다. 우리 한국인 크리스천들은 현재 이원론적 삶의 태도로 말미암아 실제 내용과 외모의 차이에서 오는 고통을 뼈저리게 겪고 있다. 하나님은 겉으로 드러나는 명예와 권세를 통하여 영광을 받지 않으시고 겸손과 사랑, 그리고 청지기의 삶을 통해 영광 받기를 원하신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사람에게 인정받으려 하기 보다는 하나님께 인정받고자 하는 삶의 자세가 절실한 시점이다.
 

'Christians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관 전쟁(1): 유럽과 미국의 충돌  (0) 2011.03.29
"땡전문화" 청산  (0) 2011.03.29
고무줄 인생  (0) 2011.03.29
새로운 길  (0) 2011.03.29
전도의 업그레이드  (0) 2011.03.29
Posted by jaws4u
얼마 전 한국에서 LA를 방문한 한 신학자의 강연을 들었다. 그런데 제목이 상당히 엽기적(?)이었다: “비그리스도인들도 교회에 들어올 수 있나?” 교회가 전도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 아닌가? 그렇다면 이런 질문 자체가 과연 의미 있는 질문일까?
 
그러나 현재 한국교회의 교인수가 90년대를 고비로 줄어들고 있는데 그 가장 큰 원인이 교인들의 세상 삶 수준이 “평균이하”라는 세상인들의 평가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그 제목의 심각성이 현실감 있게 다가왔다. 전도란 예수님이 우리의 구세주이심을 세상에 전파하는 것일 터인데 세상인들은 전도자들에게 “당신이 말하는 예수님을 당신에게서 볼 수 있게 좀 해주쇼”라고 반문하고 있다. 매우 곤혹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인 크리스천의 경우 이런 문제를 단지 윤리적인 차원으로 이해할 수 없는 더 근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즉 믿는 사람이 왜 저래... 하면서 쉽게 손가락질 할 수 없는 고민이 있다는 것이다. 우선 이 글을 쓰는 내 자신이 이런 비판에 자유롭지 못함을 느끼고 있다. 항상 믿음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음을 스스로 느끼고 있기에. 어쩌면 이런 고민은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성도들의 아픔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단지 믿음과 실제의 차이라는 것으로 전도가 막힌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질적인 문제는 우리의 신앙구조가 철저히 이원론(dualism)에 입각해서 세상에서의 삶 자체에 중대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영성에 있다. 성(聖)과 속(俗) 구분을 공간으로 하여 직장이나 심지어는 가정까지도 삶의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속된 일 정도로 여기는 영성이 팽배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세상살이 모습이 믿는 자나 믿지 않는 자나 다를 바가 없게 된다.
 
그러나 성속구분은 공간이 아니라‘방향’(direction)에서 이루어져야 함이 마땅하다. 즉 세상에서 수행하는 일의 방향과 절차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진행된다면 그곳이 바로 성스러운 장소임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는 말씀을 바로 이해해야할 시점에 왔다. 우리의 전 삶 가운데서 하나님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는 신앙자세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도는 모든 것에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하나님께 방향을 정하는 삶과 직결되어 있다. 우리가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받아 그런 삶을 일관되게 영위해 갈 때, 비록 우리의 힘이 약해 보여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바로 전파될 것이다.

'Christians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관 전쟁(1): 유럽과 미국의 충돌  (0) 2011.03.29
"땡전문화" 청산  (0) 2011.03.29
고무줄 인생  (0) 2011.03.29
빚좋은 개살구  (0) 2011.03.29
새로운 길  (0) 2011.03.29
Posted by jaws4u
1

삶과 신앙을 친구들과 함께 나누기 원합니다. I want to share my life and faith with friends.
jaws4u

달력